부산콘텐츠마켓2014
전문가, 학생, 시민 위한 세미나와 다양한 체험의 장 열려
방송영상, 모바일 콘텐츠 실무 전문가 초청 포럼
다양한 전시, 체험프로그램으로 온가족이 함께하는 플라자
부산콘텐츠마켓조직위원회(조직위원장 허남식)는 오는 5월 15일(목)부터 17일(토)까지 열리는 부산콘텐츠마켓(BCM)2014 행사 기간 중 15일(목)과 16(금)일 두 차례에 걸쳐 ‘BCM 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부산 벡스코에서 UHDTV 및 모바일정책과 아시아 차세대 TV콘텐츠에 대해 논의한다.
15일(목)에는 ‘UHDTV 및 모바일정책 세미나’가 벡스코 제1전시장 회의실 214호에서 오후 1시 30분부터 방송영상 관계자와 일반인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열린다.
‘UHDTV 및 모바일정책 세미나’에서는 스마트TV, UHDTV 방송영상 및 콘텐츠 생태계 트렌드를 이해하고 콘텐츠산업과의 상생방안을 모색하며, 광대역 모바일네트워크의 투자와 스마트미디어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정책 현안과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먼저 ‘스마트TV와 UHDTV가 만드는 콘텐츠 산업의 미래’에 대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허남호 부장과 CJ헬로비전 이종한 상무의 발제를 시작으로 △동명대학교 방송영상학과 유승관 교수, △KT 콘텐츠사업담당 박동수 상무, △CJ E&M 콘텐츠사업팀 조대현 팀장의 토론이 이어진다.
다음으로 ‘통신네트워크 고도화가 콘텐츠 산업발전에 미친 영향과 정책적 의미’라는 주제로 한양사이버대학교 김광재 교수와 경성대학교 이상호 교수가 모바일 기반 콘텐츠 산업에 대해 발제한다. 이어서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권상희 교수, △MOBIA 무선인터넷협회 고진 회장, △KBS미디어 유상원 드라마 총괄 PD, △SK BB 콘텐츠사업팀 김용현 팀장이 토론한다.
16일(금)에는 ‘아시아 차세대 TV콘텐츠포럼 세미나’가 백스코 회의실 211호에서 오후2시부터 세계 각국 방송사, 제작사, 기획사 관계자, 대학생 등을 대상으로 열린다.
‘아시아 차세대 TV콘텐츠포럼 세미나’는 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차세대 TV콘텐츠의 국가 간 교류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 발전 방향을 논의할 예정이며 드라마, 애니메이션, 국제 저작권 발전과제의 3부로 나눠 진행된다.
1부는 ‘드라마 한류 재도약을 위한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에 대해 경기대학교 송종길 교수가 발제하고 △(주)삼화네트웍스 안제현 대표이사, △영산대학교 문화산업대학 신문방송학과 이진로 교수, △중국영화&TV저작권산업연맹 유연군 비서장, △MBC 콘텐츠사업국 민완식 국장, △한국콘텐츠진흥원 정책연구실 산업정책팀 윤재식 박사가 토론을 펼친다.
2부는 ‘애니메이션 국제공동 제작의 새로운 방향’에 대해 한양대학교 김영재 교수의 발제에 이어 △(사)애니메이션제작자협회 김영두 회장, △한국방송통신아동콘텐츠협회 정극포 회장, △중국TV예술가협회 왕잔하이 애니메이션 분과위원장, △호남 애니월드카툰 평아이춘 부사장, △일본애니메이션협회 사업위원회 마스다 히로미치 부위원장이 토론한다.
3부에서는 ‘국제 저작권 교류현황과 해결과제’에 대해서 대구대학교 최진원 교수가 발제하고 △한국독립PD협회 이동기 회장, △(사)부산영화영상산업협회 정재민 회장, △중국 동북사범대학 미디어학부 왕이닝 수석교수, △CCTV 저작권관리부 정즈 부장, △한중일 TV제작자포럼 하야시 켄지 실행위원장, △문화관광부 저작권정책과 금기형 과장이 토론을 펼친다.
부산콘텐츠마켓은 이번 포럼을 통해 스마트TV, UHDTV, IPTV 등의 방송영상 및 콘텐츠 생태계의 트렌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한편,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 공동 제작 및 유통으로 아시아 미디어 시장을 활성화하고 세계 각국 제작사 간의 방송 제작에 관한 정보와 자료를 지속적으로 교환할 계획이다.
한편, 부산 해운대 벡스코에서 5월 15일부터 17일까지 3일간 진행될 부산콘텐츠마켓2014 ‘BCM 플라자'에서는 올댓티비존, 로봇 미래 체험존, 키즈랜드, 캐릭터 애니메이션존, 상설 이벤트 프로그램 등 다양한 전시 및 체험 프로그램들을 가까이서 만나볼 수 있다.
올댓티비존에서는 인기리에 종영된 드라마 “감격시대”의 ‘상하이 회관’세트 재현과 ”개그콘서트“의 인기 프로그램인 ’황해‘, ’뿜 엔터테인먼트‘ 등의 세트와 각종 소품 등을 전시한다. 궁중 의상의 연대기별 전시, ’가마타기‘와 ’형틀체험‘, 포토존 등도 구성해 성인과 어린이 모두가 즐길 수 있게 진행된다.
또한 실제 방송국 중계차와 뉴스세트, 카메라 등을 배치하여 방송제작 장비를 볼 수 있는 전시의 장을 폭넓게 구성했다. 그리고 “꿈꾸는 스튜디오”를 구성하여 크로마키 합성 기법을 이용해 관람객이 직접 뉴스 진행을 해볼 수 있도록 준비했다.
로봇 미래 체험존에서는 2012년 여수 엑스포 최고 인기 전시 프로그램이었던 로봇관을 재구성해, 방송 캐릭터와의 결합으로 향후 방송 콘텐츠의 주력이 될 로봇존을 구현한다. 물고기 로봇, 댄싱 로봇, 축구 로봇 등 다양한 로봇들이 활기차게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고, 높이 6M에 달하는 대형 전시 로봇과 함께 사진을 찍을 수도 있다.
홀로그램 영상과 터치스크린 등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해 영화에서 봤던 것들을 직접 해볼 수 있는 색다른 전시를 할 예정이다.
캐릭터 애니메이션존과 키즈랜드는 교육적, 체험적 요소를 결합한 “에듀벤쳐”란 부제로 마련됐다.
키즈랜드에서는 어린이들이 직접 몸으로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가 준비되어 있다.
캐릭터 애니메이션존에는 현재 인기리에 방영중인 어린이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관람할 수 있는데, ‘로보카 폴리’를 비롯한 다양한 캐릭터 애니메이션 제작사가 직접 참여하여 다양한 볼거리와 관람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무대 공연을 제공할 예정이다.
부산지역 주요 영상 관련 대학 학과와 유관협회, 지역 업체 등이 함께하는 지역 업체 참여관에서도 다양한 영상체험프로그램과 영상 콘텐츠를 선보인다.
한편 “착한 커피”라는 부제로 공정무역 커피가 준비된 휴게 공간을 마련하여 관람객들이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공간도 마련했다.
이번 ‘BCM 플라자'는 관람객이 직접 참여 할 수 있는 체험 전시의 형태로 조성되어 어린이와 성인 모두가 만족하는 행사가 될 예정이며 참관객 6만여 명 이상을 목표로 진행된다.
*참고: BCM 전체 참관객 2012년 3만여 명, 2013년 5만여 명
*별첨: BCM플라자 구성
(*별첨: BCM플라자 구성)
부산콘텐츠마켓(BCM), 2014년 플라자 구성
1. 올뎃티비 존
▶콘텐츠 개요 : 방송의 모든 것을 한 눈에 관람.
가. 드라마세트, 개그콘서트 인기 코너 세트 재현(감격시대, 황해, 뿜 엔터테인먼트 등).
나. 궁중의상 연대기 별 전시, 체험.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까지 SBS에서 방영됐던 인기 사극 드라마에 사용됐던
궁중 의상 전시, 학습, 체험.
다. 가마타기, 형틀체험 등.
라. 뉴스세트, 카메라 등 생생한 방송 현장 체험(크로마키 체험).
마. 전파산업진흥원 3D 중계차 현장 배치, 독도 아리랑, 애국가 등 고화질 3D
콘텐츠 체험 기회 제공.
▶목적 : 플라자 행사 최초로 방송 콘텐츠의 모든 것을 체험, 관람할 수 있는
새로운 콘텐츠 부각. 일반 가정에서 체험하기 힘든 3D 콘텐츠 체험 기회 제공.
▶대상, 기대 효과 : 어른과 아이들이 다 좋아할 수 있는 콘텐츠!
가족 단위 관람객들을 유인할 수 있는 킬러 콘텐츠!
2. 로봇과 미래 체험 존
▶콘텐츠 개요 : 여수 엑스포 전시됐던 최고 인기 로봇관을 방송 캐릭터와 결합.
-향후 방송 콘텐츠의 주력이 로봇이 이끄는 시대임을 보여줌.
-댄싱 로봇, 물고기 로봇 등 다양한 전시 아이템 확보.
-홀로그램 영상과 터치 스크린 등 체험.
▶목적 : 최고의 볼거리, 최고의 콘텐츠 경쟁력 확보. 관객 유인의 핵심.
▶대상, 기대효과 : 전세대를 아우르는 콘텐츠. 관객 만족도 최대화.
3. 키즈랜드 : 어린이들 선호도와 안전성 동시 확보. -쉼터, 재미 역할
4. 캐릭터, 애니메이션 존
▶콘텐츠 개요 : 로보카 폴리 등 애니메이션 제작사가 직접 참여.
▶목적 : 어린이들의 가장 큰 관심인 캐릭터, 애니메이션 관람 기회 제공.
-행사의 근간을 유지하며 새로운 전시 콘텐츠와의 배합 최적화.
▶대상, 기대효과 : 어린이, 메인 메뉴 역할 수행
5. 상설 이벤트 프로그램
▶콘텐츠 개요 : 마임, 퍼핏, 로봇 퍼포먼스 등 행사장 전체를 이벤트 무대화.
▶목적 : 여러 가지 볼거리 제공으로 전시, 체험에서 공연 관람의 기회 제공.
▶대상, 기대효과 : 전 세대를 아우르는 공연 콘텐츠.
6. 협찬 가능성 고려한 연관 기업과 기관 독립 부스 적극 유치!
이벤트넷부산대표기자 허재호 / 010-4143-1139 / hjhys1132@naver.com

악의 적인 댓글이나 공격성 댓글은 고지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