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란법, 이벤트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글의 내용과는 무관합니다...)
김영란 법이 합헌으로 결정되어 9월28일부터 효력을 발휘하게 된다. 과연 김영란법은 이벤트업계에 긍정적영향이 있을 것인지, 아니면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인지에 대한 궁금증이 있어 내용을 알아보았다.
우선 신차발표회, 신제품발표회 등 대언론을 대상으로 하는 행사는 일단 수정이 불가피하다는 것이 중론이다. 3만원 식사, 5만원 선물로 제한된 김영란법에 저촉된다는 것이다. 모 자동차회사는 향후 대언론 및 행사와 관련한 지침서 혹은 매뉴얼을 만드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수입자동차 업체들도 법률사무소에 질의서를 보냈으며 조만간 해당 사항에 관한 매뉴얼을 제작하고 회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일부 신차발표회의 경우에도 연기하거나 앞당기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자동차 신차발표회의 경우는 제품의 특성상 특정장소에서 시작하고 기자들을 대상으로 하기에 식사, 기념품등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어 김영란법에 직접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기자가 아닌 일반소비자의 경우 애매모호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접대비로 인정하느냐의 문제지만 아직 이렇다 할 대안이 없어 이벤트 기획사들은 이에 대한 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국적 회사의 컨퍼런스나 미팅을 주로 하는 회사들도 일부는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이나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는 것이 중론이다. 다만, 고객사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이전처럼 고급스러운 장소 혹은 식사제공이 불가능하기에 행사 구성에 대한 일부 변경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기타 국가나 지자체행사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는 아직까지 업계에 영향을 끼치는 악재는 없는 것이 다행이다. 이에 김영란법도 이벤트업계에는 아무 영향 없이 지났으면 하는 바람이다.

악의 적인 댓글이나 공격성 댓글은 고지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