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대행업, 서비스단체표준 제정 완료

2019.04.29 09:59 조합 조회 1,960 댓글 0

행사대행업, 서비스단체표준 제정 완료

 

한국이벤트산업협동조합(이사장 엄상용)이 행사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단체표준 제정을 마쳤다고 28일 밝혔다. 조합은 해당 업계에 단체표준 확산을 위한 인증업무를 상반기 중 실시한다.

 

서비스 분야에 단체표준 인증제도가 도입되면서 관련업계의 경쟁력 제고가 기대된다.

 

서비스분야는 공공구매 전체시장에서 약 20%(19조원)의 비중을 차지하지만 물품, 공사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품질보장을 위한 기준이 미비해 인증제도 필요성이 높았다. 인증제도 도입으로 서비스 품질상승은 물론이고 적정 이윤산출 근거 등을 수요처에 제시할 수 있다.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최근 1년새 3건의 서비스 단체표준이 제정됐다. 4차산업혁명의 가속화로 서비스분야에서도 제조공정과 마찬가지로 표준화 패러다임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

 

올해는 한국전시문화산업협동조합에서 박물관 등 상설전시분야 전시물의 설계·제작·설치·운영 기준을 마련한 '공공전시서비스' 단체표준을 제정했다.

 

한국이벤트산업협동조합은 지역축제, 기업행사 및 체육대회 등의 안전문제를 방지하고 행사품질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담긴 '행사서비스' 단체표준을 제정하고 인증사업을 추진한다.

 

협동조합 등에서도 단체표준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조달청 및 지자체 등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해당 서비스 단체표준을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수요처를 발굴해 표준보급을 확산시킬 계획이다.

 

박경미 단체표준국 국장은 중앙회에서도 제정된 서비스 단체표준이 신뢰할 수 있는 인증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며 단체표준 제정 컨설팅 지원사업 등을 통해 서비스 단체표준 제정 확대 등 활성화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서비스 단체표준(2018~2019) 제정내용

 

한국이벤트산업협동조합

 

서비스 단체표준명 : 행사서비스 단체표준(2019)

제정 목적 : 행사서비스는 무형의 서비스로 해당 분야에 대한 명확한 업무

기준이 없어 수요처의 목적 및 방향과 다르게 제공되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행사서비스 제공시 시설 및 안전관리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

안전사고 발생의 요인이 되고 있는 실정. 이에 행사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만족과 안전사고 예방 위한 표준을 마련하고 이벤트산업의 질적 성장 도모

향후 계획 : 이벤트 산업의 주요이슈인 기업이윤, 인건비, 정산 등에 대한

기준을 규정화한 표준이므로 수요처와 고객에게 더욱 신뢰받을 수 있도록

표준의 확산에 주력(인증업무 준비)

- 문의 : 02 338 8001

 

악의 적인 댓글이나 공격성 댓글은 고지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댓글

댓글 등록

최상단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