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연구포럼 일곱 번째 연구모임
일시 : 2013년 11월30일(토) 오후 3시
장소 : 인사동 태화빌딩 세미나실
주제 : 축제의 명칭과 변용에 관한 학제적 접근
사회 : 신현식 교수(상지대학교)
1. 인문학적 접근
발제 : 유동환 교수(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토론 : 이정진 교수(오산대학교)
2. 민속학적 접근
발제 : 김승국 상임부회장(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토론 : 최유진 교수(한국영상대학교)
3. 사회학적 접근
발제 : 이각규 소장(한국지역문화이벤트연구소)
토론 : 김윤 교수(한국관광대학교)
무분별하게 표기되는 ‘축제’라는 명칭의 문제점제기와 향후 변용될 수 있는 표기방법은 무엇인가?
축제연구포럼이 일곱번째 모임으로 "축제의 명칭과 변용에 관한 학제적 접근"이란 주제로 토론회를 가졌다.
축제의 여러 양상에 대한 연구를 통해 축제의 올바른 방향정립과 축제의 발전 방안 제시를 위해 올 3월에 축제전문가들로 발족한 축제연구포럼(회장 김정환, 오산대학교 교수)은 11월 30일 오후 3시부터 인사동 태화빌딩 세미나실에서 50여명의 축제관련 학자, 축제관련 전문가와 지역축제를 연출하는 총감독과 축제를 개최하는 기관의 담당자로 구성되어진 포럼회원이 참가한 가운데 ‘축제의 명칭과 변용에 관한 학제적 접근’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3명의 발제가가 각각 민속학, 사회학, 인문학적 접근을 통해 축제라는 명칭이 지닌 각 학문적 본질 속에서 변용되어진 현대의 추게라는 명칭에 대한 향후 표기에 관한 심층 포럼이 있었다.
첫 발제자로 나선 김승국 한국문화예술회관 상임부회장은 ‘민속학적인 접근’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우리나라 축제는 유형과 성격에 따라 축제의 명칭이 명명되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축제의 유형과 성격에 따라 축제의 명칭이 사용되어지는 것이 좋을지 생각해 본다면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축제의 명칭이 바뀜으로서 올 수 있는 혼란과 의견의 상충을 피하기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명칭을 그대로 사용한다. 둘째, 일제 문화의 잔재라고 비판 받고 있는 ‘축제’, ‘제전’, ‘-제’라는 명칭을 우리나라의 역사적 사례에 의거하여 ‘축전’으로 대체하거나 순수한 우리말인 ‘(큰) 잔치’, ‘한마당’으로 대체한다. 축제라는 용어를 대체하고자 하는 두 번째 방안에 대하여 좀 더 세분화하여 굳이 생각해본다면 축제의 유형과 성격에 따라 주민화합형축제와 관광축제는 ‘한마당’ 혹은 ‘(큰) 잔치’로 산업축제와 특수목적축제는 ‘축전’이라는 명칭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하였고, 향후 생성되어지는 축제는 일제 문화의 잔재(殘在)라고 비판 받고 있는 ‘축제(祝祭)’,‘제전(祭典)’, ‘-제(祭)’이라는 용어 대신 ‘축전(祝典)’, (큰) 잔치‘, 혹은 ‘한마당’이라는 명칭이나 다른 적절한 용어로 명명되어지도록 기획 단계에서부터 공동체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여 용어 선택을 하도록 신중하게 검토해야 할 것이다고 향후 명칭사용에 따른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사회학적인 접근’이란 논제를 가지고 발제에 나선 이각규 한국지역문화이벤트연구소 소장은 현대사회에 있어서 현대도시축제의 의미는 공동체의식의 함양과 지역정체성의 형성에서 찾을 수 있다. 즉 창의적인 문화생산과 발전에 기여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일상공간의 축제화이다. 다양한 축제명칭의 무분별한 남발과 축제 본연의 의미와 목적, 규모에 부합되지 않는 무늬만 축제인 행사도 너무나 많다. 이에 향후에는 축제라는 명칭을 축제 본연의 의미와 목적, 참가대상, 규모를 고려한 축제명칭 선정이 필요하고, 축제명칭의 무분별한 남발을 지양하고 행사취지와 규모를 고려한 행사명칭 설정해야 한다라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유동환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교수의 ‘인문학적인 접근’에서는 축제를 바라보는 학문적 의미 속에서 그 해답을 찾고자 하였다. 존재론에서 ‘우리는 어떤 존재인가? 축제는 무엇이며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윤리적인측면과 축제에선 무엇을 해야 하는가? ‘무엇을 알 수 있고, 어떻게 알 수 있는가?란 인식론과 축제의 본질을 알 수 있는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 ‘우리가 아는 것은 믿을만한 것인가?(논리학)’, 축제의 본질은 믿을만한 것인가? -‘어떤 것이 아름다운가?(미학)’ 축제를 가장 아름답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라는 발제자의 질문목록을 통해 축제라는 명칭의 표기에 따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어진 지정토론에서 최유진 한국영상대학교 교수와 김윤 한국관광대학교 교수 그리고 이정진 오산대학교 교수는 발제자와의 토론을 통해 현재 무분별하게 명기하는 축제라는 용어의 선택에 있어서는 새로운 용어로 표기하는 것이 맞으나 대치할 용어의 선택 또한 조심스럽게 선택하여 표기하여야 할 것이다 라고 중론을 모았다.
지난 3월에 발족한 축제연구포럼의 회원들은 대부분 대학에서 축제를 강의하고 있으면서 지역 축제의 평가위원 등으로 활동하는 학자와 실제 지역축제를 기획 연출하는 축제 감독, 축제를 개최하는 문화재단의 축제담당, 그리고 축제를 대행하는 기획사대표, 예술분야의 연희자 및 연주자 등 약 80명이 모여 기존 축제의 문제점 진단 및 해결 방안을 위한 연구 및 정책 건의 및 조사 연구, 유기적 협력을 통한 정보교류 및 시너지 효과 극대화와 연구발표를 통한 기존 축제 업그레이드를 위한 “축제연구포럼”을 발족했다.
참가자 명단
고경우 대표 : 이데아커뮤니케이션 대표이사,
곽경전 감독 : 전 인천부평 풍물축제 기획단장, 문화기획자,
김 윤 교수 : 한국관광대학교 국제컨벤션과 교수,
김성우 감독 : 수원국악예술단 예술감독
김성학 선생 : 주)유니타스 Section Manager, 타악연주자,
김승국 부회장 :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상임부회장,
김영선 선생 : 노원어울림탈축제 추진위원회 총무간사,
김영애 선생 : 청소년 상담전문가,
김웅래 교수 : 인덕대학교 교수
김정로 감독 : 공연유락연구소 소장,
김정환 교수 : 오산대학교 이벤트연출과 교수,
김종현 과장 : 서울시립교향악단 과장,
무영 스님 : 예우문화재단,
민신홍 : 성균관대학교,
박종부 감독 : 축제 총감독
백성우 감독 : 마이글란츠아리랑 총괄운영감독, 주) 플랜디CP,
서민석 : 성신여자대학교,
성미경 선생 : Baron Lincoln Mercury,
송미선 대표 : 공연기획사 메노뮤직 대표,
송인우 선생 : 강령탈춤 이수자
신남주 교수 : 동남보건대학교 관광중문과 교수,
신현식 박사 : 평창효석문화제 총감독, 상지대학교 겸임교수,
유동환 교수 :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교수,
윤동국 대표 : 주)Realplug 대표, IT전문가,
이각규 소장 : 한국지역문화이벤트연구소 소장, 프로젝트프로듀서,
이원섭 선생 : 소설가, 무속연구가, KBS민속기행 국토순례 진행자,
이정진 교수 : 오산대학교 이벤트연출과 교수,
임선아 선생 : 연성대학교 호텔관광과 외래교수, 문화기획자,
임춘섭 선생 : 굿, 전통연희 사진작가,
정란 감독 : 목포시립무용단 예술감독 겸 상임안무자,
정명숙 PD : 다큐멘터리스트묘 프로듀서,
조성제 선생 : 무천문화연구소 소장, 무속 칼럼니스트,
조영수 박사 : 생활건강연구소 이사장
조현주 선생 : (주)에프엠커뮤니케이션즈 기획자,
최유진 교수 : 한국영상대학교 이벤트연출과 교수,
최한겸 교수 : 경성대학교 부교수, 의료관광신문 발행인,
표신중 이사 : 한국문화정책연구소 이사
한덕택 감독 : 운현궁. 남산한옥마을 예술감독, 오산대학교 외래교수,
황금들 교수 : 서울문예전문학교 파티플래너과 교수,
황병중 박사 : (주)여가누리 대표이사, 지역축제평가위원

악의 적인 댓글이나 공격성 댓글은 고지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