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이벤트매니지먼트-KBSN국창민 팀장
KBSN 국창민 팀장이 오랜 시간 공을 들인 번역서 “이벤트매니지먼트”가 발간되었다.
기존 국내에 발간된 책은 기획, 실행 단계, 연출에 대한 책은 많았으니 프로젝트 기획단계부터 실행, 리스트, 결산까지 전 부분을 사례 중심으로 다룬 책은 없어 이 책을 번역하게 된 동기라고 저자는 말한다.
서문에서 저자는 “전문적인 실무 분야 가운데 하나인 이벤트 매니지먼트는 전략적 계획 수립, 리스크 분석, 마케팅, 예산, 현금 흐름 계획 수립, 인력 자원 관리 등 정교한 기술을 요하는 분야다. 이 책에는 이러한 주제들뿐만 아니라 다른 많은 내용이 담겨 있다. 사실상 대부분의 공공 이벤트 고위직에 전문 훈련을 받은 인력들이 채용되는 상황이다. 각종 이벤트에 내재된 위험 요소(재무적 위험을 포함해서)의 범위가 광범위할 뿐 아니라, 이벤트 자체의 프로젝트적 성격으로 인해 고위직에는 기술적 숙련은 물론이고 지식 기반의 경영 관리를 할 수 있는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라고 한다.
업계에서 일하는 실무자가 책을 발간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고 축하해줄만한 일이다. 좋은 결과를 기대한다.
☑ 저자 소개
린 반 더 바젠(Lynn van der Wagen)
시드니 북부 TAFE(국립전문대) 교육기관인 노던비치스칼리지(Northern Beaches College)의 ‘관광과이벤트학과’ 학과장이다. 2000 시드니올림픽 운영 인력의 설계, 전달을 교육하는 팀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맡은 바 있다. 베이징올림픽(홍콩에서의 운영 인력 교육)과 2010 상하이엑스포(위기관리 교육), 세계청소년의날(World Youth Day) 이벤트에 참여했다.
라우런 화이트(Lauren White)
시드니공과대학교(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에서 커뮤니케이션 학위를 취득했다. PR과 마케팅 분야에서 폭넓은 경력을 쌓아 왔다. 미디어 이벤트가 포함된 PR 캠페인을 진행해 왔으며, 럭비월드컵 행사에 참여하기도 했다.
☑ 역자 소개
국창민
케이비에스엔 전략사업 팀장이다. SM엔터테인먼트, 경향신문사에서 스타마케팅, 공연전시, 스포츠 사업을 진행했다. 홍익대학교에서 광고홍보학 학사, 국민대학교에서 스포츠경영학 석사를 받고 현재 경희대학교 스포츠이벤트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 F1코리아그랑프리, 이스탄불-경주 세계문화엑스포, 인천 펜타포트락페스티벌 등 국가 또는 지역 이벤트 사업과, 해외 유명가수 내한공연(저스틴 비버, 사라 브라이트만), 전시(피카소전, 지
브리 스튜디오전), 뮤지컬(셜록 홈즈, 디즈니 아이스쇼) 등 현재까지 매년 40회 이상씩 이벤트와 관련된 매니지먼트 업무를 해 왔다.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대통령 표창(2011), F1코리아그랑프리 전남지사 표창(2010) 등 시·도지사로부터 다수의 표창을 받았다. 한국이벤트프로모션협회와 한국이벤트컨벤션학회 이사로 활동 중이다.
☑ 차례
서문
01 이벤트 산업에 대한 지식
이벤트 산업의 구조와 운영
이벤트 산업의 윤리·법적 이슈
이벤트 산업의 기술
이벤트 산업 지식 업데이트하기
요약
02 이벤트 콘셉트
이벤트의 목적, 목표, 범위의 설정
이벤트의 콘셉트, 주제, 포맷의 설정
이벤트 콘셉트의 실현 가능성 평가
이벤트 디자인
운영 가능한 단계까지 이벤트 콘셉트 발전시키기
요약
03 이벤트 장소와 현장
이벤트 장소나 현장의 요건
이벤트 장소와 현장의 물색
이벤트 장소나 현장의 준비 사항 확인
요약
04 이벤트 상연
이벤트 상연을 위한 필요 요건 분석
상연 전문 계약업체 물색과 협상
요약
05 질 높은 고객 서비스
이벤트 서비스 구성 요소
서비스 품질 제고 방법 개발
질 높은 서비스의 제공 관리
고객 서비스의 관리 감독과 조정
요약
06 마케팅 활동
마케팅 · 프로모션 활동의 계획과 조직화
홍보 활동의 수행
프로모션 활동 계획의 창안
프로모션 활동 리뷰와 보고서 작성
요약
07 스폰서십
스폰서십의 요건과 기회의 결정
스폰서 구하기
스폰서에 대한 서비스
스폰서십 평가
요약
08 의전 요건
적절한 의전 정보 찾기
적절한 의전 절차의 세부 작업 활동으로의 통합
의전에 대한 지식 업데이트
요약
09 이벤트 규제 요건
이벤트 규제 이슈 분석
규제 당국과 일하기 위한 전략 수립
규제 요건을 다루기 위한 계획과 절차의 개발
이벤트의 규제 준수 수준 평가
요약
10 비즈니스 관계 및 비즈니스 회의
비즈니스 관계 형성하기
협상 업무의 수행
공식적인 비즈니스 협약 체결
비즈니스 회의의 계획, 준비, 실행
비즈니스 관계의 조성과 유지
요약
11 직원·자원봉사자
직원 모집의 필요성 파악
직원 모집과 선발
신입사원을 위한 업무 소개 프로그램의 계획과 조직화
자원봉사자 참여의 필요성에 대한 결정과 정의
자원봉사자 유지율 극대화
인력 운영 정책의 준비
근무자 명단 작성
요약
12 인력 관리
성과와 행동의 측정 기준 책정
팀의 헌신과 협력 유도
팀 성과 관리
요약
13 인적 성과 관리
업무 할당
성과 관리
피드백의 제공
사후 관리
직원의 유지
요약
14 프로젝트 관리
프로젝트의 확인, 기획 그리고 수행
프로젝트 관리 원칙의 이해
정보기술의 활용
프로젝트 실행과 평가
요약
15 이벤트 인프라
이벤트 인프라의 필요 요건
이벤트 인프라의 구축과 조직화
이벤트 인프라 구축 과정 관리 감독
요약
16 이벤트 관리 서비스
현장 관리 준비
이벤트 운영에 대한 관리 감독
이벤트의 해체와 철수에 대한 감독
요약
17 안전과 보안 리스크
보안
직장 보건과 안전
위험 요인과 위험의 파악
위험 요인과 연관된 안전 위험에 대한 평가
위험의 제거 또는 통제
요약
18 군중 통제
군중 관리 계획 개발
발생 가능한 위험 분석
실제 운영 가능한 군중 관리 절차의 수립
비상 시 군중 통제 절차 수립
비상 시 대응 절차 실행
군중 통제 계획과 절차에 대한 평가
요약
19 음식 공급
전체적인 이벤트 목표와 범위의 확인
음식 공급 콘셉트 수립
음식 공급을 위한 운영 계획의 수립과 실행
요약
20 지속 가능한 친환경적 업무 관행
이벤트 현장 내에서 사용되는 자원의 파악
환경 규제 사항의 준수
자원 효율성 제고를 위한 기회 찾기
요약
21 재무 정보
재무 정보에의 접근과 해석
업무 활동에 재무 정보 적용하기
원장
요약
22 예산
예산 정보의 준비
예산 확보
예산 확정
예산 관리 감독과 재검토
요약
23 이벤트 트렌드와 이벤트 관행
관리 감독과 통제 시스템의 가동
업무 관행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에 대한 평가
이벤트 산업의 아이디어, 관행, 트렌드에 관한 조사
이벤트 관리 기술과 지식의 확장
요약
24 법률 지식
필요한 법률 지식 조사
법적 요건의 준수에 대한 보장
법률 지식의 업데이트
요약
25 이벤트의 실현 가능성
이벤트의 기획과 근거에 대한 분석
필요 자원과 기회에 대한 평가
필요 요건에 대한 평가
권고 사항과 모델의 개발
요약
26 경영 위험
위험에 대한 파악
위험에 대한 평가
경영 위험의 제거 또는 통제
경영 위험 관리 관행의 관리 감독과 평가
리스크 관리 정책의 개발
요약
27 마케팅 전략
이벤트 마케팅의 본질
외부 정보의 수집과 분석
내부 정보의 수집과 분석
마케팅 전략의 개발
마케팅 계획의 수립
마케팅 활동의 실행과 관리 감독
요약
28 홍보 전략
조직 정체성의 창출
홍보 계획·전략의 수립
홍보 실행 과정 관리
홍보 계획의 평가와 리뷰
요약
29 재무 운영
재무 관리 방법의 개발
재무 절차와 시스템의 개발 · 관리 감독
가격 결정
재무 성과의 관리 감독
재무 보고서 작성
요약
30 이벤트 제안과 입찰
입찰, 정부 공개입찰과 정부 보조금 신청
이벤트 개요의 해석
입찰서의 세부 사항 개발
입찰서 자료 개발
요약

악의 적인 댓글이나 공격성 댓글은 고지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