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축제연구포럼 열한번째 연구모임 및 담양대나무축제 현장방문
축제연구포럼(회장 김정환 박사, 한국축제문화연구소 소장)은 지난 6월28~ 29일 1박2일간 담양 죽향문화체험마을 내 추성창의기념관에서 축제연구포럼 열한번째 연구모임 및 담양대나무축제 현장방문에서 “담양대나무축제 및 2015년 담양세계대나무박람회 발전 방안을 위한 세미나”를 축제연구포럼이 주최하고 전남도립대학교 문화관광정보센터가 주관하며 담양대나무축제조직위원회 후원으로 축제를 연구하는 학자와 현장전문가 60명이 모여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 학계 및 현장 전문가들 60여명이 한 자리에 모여 열띤 토론
전국각지에서 속속들이 세미나장으로 도착한 축제연구포럼 회원들은 본 행사를 주관하는 ‘전남도립대학교 문화관광정보센터’의 따듯한 환영 속에서 담양군 이기환 부군수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담양대나무축제 및 2015년 담양세계대나무박람회 발전 방안”세미나는 좌장을 맞은 박창규 교수(전남도립대)의 진행으로 전문가 3명의 발제가 진행되었으며 관련 학계와 기관 및 예술가들이 포함된 전문가들의 열띤 난상토론이 이어졌다.
첫 발제자인 백원정(KBSN PD)는 “2015담양세계대나무박람회 실행계획 수립 및 행사대행”이라는 제목으로 내년도에 개최될 박람회 주관대행사에서 수립한 “2015담양대나무박람회의 주제 도출 과정과 표현 전략을 소개하였고, 이어진 지정토론과 플로어의 토론을 이어졌다. 토론에서는 박람회 정체성을 내포한 차별화된 주제 표현 방식과 박람회로서의 위상을 갖추기 위한 현실성 있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대해 토론이 계속되었다.
두 번째 발제를 맞은 한덕택 감독(운현궁 예술감독)은 “2015담양세계대나무박람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전통문화 활용방안”이란 발제에서 축제 홍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예산 책정에서부터 실행 전략까지 진부한 방식으로 진행되는 현실을 지적하였다. 또한 포럼 참여자에게 직접 페이스북등을 활용하여 담양대나무축제를 검색하도록 하였는데 이를 통하여 담양대나무축제가 놓치고 있는 사소하지만 중요한 것들이 무엇인지 인상적으로 인지시키기도 하였다.
마지막 발제자로 나선 김정환 박사(한국축제문화연구소 소장)는 “2015담양세계대나무박람회와 연계한 담양대나무축제의 발전전략”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대나무축제와 연계한 Killer Contents개발을 위해 준비한 발제문을 통해 세계 각국에서 개최되고 있는 대나무축제 소개와 더불어 대나무를 활용한 우수 콘텐츠 사례를 소개하고 담양대나무축제가 나아갈 방향 및 해외우수사례 중 담양에 접목가능한 활용방안을 논의 하였다. 발제에 이어진 지정토론과 회원모두가 참여한 난상토론을 통해 담양이라고 하는 지역적 특성이 대나무라는 보편적인 소재를 만나 어떠한 축제적 영감을 불러일으킬 것인가에 대해 많은 전문가들의 진지한 토론이 이어졌다.
○ 생생한 축제 현장을 가다.
세미나를 끝낸 축제연구포럼 회원들은 담양대나무축제가 어떤 모습으로 축제의 정신을 표현하고 있으며, 어떻게 진행되어지고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지난 6월 27일부터 30일까지 개최되는 “제16회 담양대나무축제”현장을 방문하여 생생한 축제현장을 살펴보았다. 「푸른 대숲, 맑은 정신」이라는 슬로건 아래 대나무와 선비정신 문화를 주테마로 대나무 테마숲인 ‘죽녹원’과 영산강 상류의 청정한 ‘관방천’을 무대로 개최된 축제현장을 둘러본 회원 모두는 에코프로젝트를 표방하는 대나무축제를 ‘천년의 숲, 세계를 품다“에 걸 맞는 프로그램운영이 좋왔다라고 축제현장을 둘러본 소감을 피력하였다.
○ 축제연구포럼 회의 간 친목도모 시간 가져
이어진 프로그램으로 담양 죽향문화체험마을안에 고풍스럽게 지어진 한옥에서 회원의 밤을 개최하며 축제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를 강화 하였다. 또한 2일차 오전부터 담양이 자랑하는 메타세콰이어길 담방과 소쇄원 그리고 창평슬로우시티 등 담양의 대표적 명소로 손꼽히는 연계관광지를 방문하며 담양 바로알기에 적극 동참하여 모처럼 회원모두가 참여하는 힐링의 시간을 보냈다.
축제연구포럼은 2013년 3월에 발족하여 기존 축제의 문제점 진단하고 해결 방안을 위한 연구와 조사, 정책 건의를 위한 유기적 협력을 위해 매달 꾸준히 개최해 왔으며 열한번의 세미나를 개최하였고, 포럼을 통한 전문가들의 교류를 통하여 기존 축제를 업그레이드하는 노력을 지속해왔다. 이 날 참여한 포럼회원은 대부분 대학에서 축제를 강의하거나 각종 축제의 평가위원 등으로 활동하는 학자와 실제 지역축제를 기획 연출하는 축제 감독, 축제를 개최하는 문화재단의 축제담당, 그리고 축제를 대행하는 기획사대표, 예술분야의 연희자 및 연주자 등 100여명으로 구성된 축제연구 모임이다. 축제연구포럼은 매달 모여 세미나와 축제현장방문을 하고 있으며 다음달 열두번째 연구모임은 인사동 태화빌딩 하모니홀에서 7월26일 오후4시에 “축제와 종교”라는 아젠다를 가지고 3명의 발제가가 기독교(가톨릭포함), 불교, 유교 등 각각의 종교적 특성에서 나타나는 축제의 제 현상을 연구하고자 세미나를 개최한다.
○ 축제연구포럼 열한번째연구모임 참석자
강창일 상임이사 |
재)오산문화재단 |
주최기관 |
강형근 이사장 |
대한청소년문화체육진흥원 |
주최기관 |
고광욱 선생 |
충북 인터넷 고등학교 교사 |
교사 |
고상현 박사 |
대한불교조계종교육원 |
학계 |
곽경전 감독 |
인천부평풍물축제기획단장 |
연출감독 |
김국권 이사 |
공연기획사 메노뮤직 이사 |
예술인 |
김길환 대표 |
한국 미래컴대표, 문화기획자 |
기획사 |
김수연 선생 |
(재)강남문화재단 |
주최기관 |
김영애 교수 |
SCAU평생교육원 교수, 청소년전문가 |
학계 |
김영호 본부장 |
(재)서울문화재단 창작공간본부장 |
주최기관 |
김용님 교수 |
서해대학교 교수 |
학계 |
김정환 박사 |
한국축제문화연구소 소장 |
학계 |
김종규 박사 |
(재)수원월드컵경기장관리재단 |
주최기관 |
김지선 선생 |
목포MBC공연행사담당 |
방송기관 |
김태욱 선생 |
문화재청 헤리티지채널 기자 |
정부기관 |
박창규 교수 |
전남도립대학교 교수 |
학계 |
배현나 선생 |
번역 작가 |
작가 |
백원정 PD |
KBSN감독, 담양세계대나무엑스포담당 |
연출감독 |
서문솔 선생 |
(재)오산문화재단 |
주최기관 |
서민곤 총재 |
대한청소년문화체육진흥원 |
주최기관 |
서민석 |
성신여자대학교 |
학생 |
서유영 박사 |
(주)스타트라인엔터테인먼트대표 |
기획사 |
송미선 대표 |
공연기획사 메노뮤직 대표 |
예술인 |
신남주 교수 |
동남보건대학교 교수 |
학계 |
신명숙 교수 |
대진대학교 무용학과 교수 |
학계 |
신보경 선생 |
미술학원 강사 |
예술인 |
신선희 선생 |
공공미술, 벽화작가 |
예술인 |
신현욱 선생 |
일지아트홀 |
예술인 |
양진혁 선생 |
의사, 대한적십자사 |
의사 |
오미래 선생 |
공공미술, 벽화작가 |
예술인 |
우정문 대표 |
적벽가 이수자, 선궁전통예술원대표 |
예술인 |
유병훈 감독 |
주)씨포스트 부사장 총감독 |
연출감독 |
윤덕현 선생 |
흥덕경찰서 |
경찰공무원 |
윤동국 대표 |
주)Realplug 대표, IT전문가 |
기획사 |
윤성은 선생 |
현대무용가Improspace company대표 |
예술인 |
이다경 선생 |
작가 |
작가 |
이동훈 선생 |
IT엔지니어 |
관련단체 |
이원섭 선생 |
소설가, 무속연구가, 방송인 |
예술인 |
이윤미 선생 |
역학 연구자 |
역학인 |
이재필 선생 |
문화 기획가 |
기획가 |
이정진 교수 |
오산대학교 이벤트연출과 교수 |
학계 |
임춘섭 작가 |
굿, 전통연희전문 사진작가 |
예술인 |
장성은 팀장 |
의정부 국제음악극축제 기획운영팀장 |
주최기관 |
전수철 소장 |
전문화연구소 소장, 문화기획자 |
학계 |
전애실팀장 |
아시아문화개발원 기획운영팀장 |
정부기관 |
정 란 감독 |
목포시립무용단 예술감독, 상임안무자 |
예술인 |
정대철 선생 |
전남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사무처장 |
관련기관 |
정명숙 감독 |
다큐멘터리 독립영화 감독 |
예술인 |
조영주 교수 |
역학 연구자 |
역학인 |
최민정 선생 |
출판인 |
출판인 |
최유진 교수 |
한국영상대학교 이벤트연출과 교수 |
학계 |
최정철 국장 |
(재)문경축제관광조직위원회 사무국장 |
주최기관 |
한덕택 감독 |
운현궁 예술감독, 축제평가위원 |
연출감독 |
황금들 교수 |
한국IT전문학교 문화콘텐츠학부 교수 |
학계 |

악의 적인 댓글이나 공격성 댓글은 고지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