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태기교수(광주대), 출간~

2014.09.29 21:55 이벤트넷 조회 12,065 댓글 0






축제이벤트의 전략과 실무

본서는 크게 서문을 포함해 4장으로 구성되고 있다. 먼저 󰡐제 1장 축제ㆍ이벤트의 이해󰡑에서는 이벤트의 개념, 특성을 통해 본질을 파악하고 축제의 기능 및 가치, 이벤트와 축제의 의미적인 관계를 통하여 축제와 이벤트와의 관련성과 상이점을 발견해 본다. 또한 이벤트의 종류에 관한 다각적인 이해와 스페이스 마케팅, 캐릭터 마케팅등과 같은 이벤트 이론의 심화 과정을 통해 기존 이벤트에 대한 새로운 시각에서의 이론적 틀을 다시 정립한다.

󰡐제 2장 통합적 이벤트기획 과정의 개요󰡑에서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여 이벤트기획 방법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첫째로 이벤트의 실시 목적을 상업성, 경제성에 두는 방식으로 기업이 마케팅 활동의 일환으로 이벤트를 실행하는 경우이다. 판촉이벤트, 기업이벤트와 산업전시회, 견본시 등과 같이 이윤추구를 극대화하기 위해 비교적 직접적이고 단기적인 효과를 얻어내려는 것에서부터 스포츠이벤트처럼 대중적, 장기적인 관점에서 효과를 기대하는 경우에도 이 기획방법이 활용된다.

둘째로 상업적인 목적보다는 공공성, 문화성, 예술성에 중심을 두어 이벤트를 실시하는 경우이다. 주로 지역이벤트나 문화 ․ 관광축제, 문화 ․ 예술 ․ 공연이벤트와 같이 장기적인 효과와 공적가치를 추구하기 위하여 개최되는데, 이때 기획과정에는 교육적, 문화적 가치나 창의성이 반영될 수 있도록 고려된다.

셋째로 상업적·경제적인 목적과 문화적·예술적·공적 가치가 함께 추구되는 복합적인 이벤트 형태다.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이나 공공기관을 막론하고 다양한 주체가 참여한다. 박람회, 견본시 등 전시 이벤트나 스포츠 이벤트처럼 이벤트 운영 방식과 프로그램 구성, 기획 방법 등이 앞 두 가지 사례와 달리 혼합된 방식으로 추진된다.

󰡐제 3장 문화ㆍ공연이벤트 영역의 기획󰡑은 지역축제나 문화, 예술, 공연이벤트와 같은 범주에서는 이벤트를 진행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공식행사, 부대행사를 근간으로 공연시설이나 행사장을 통하여 공연, 연출 계획이 추가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영역의 기획방법의 핵심은 기본계획을 시작으로 행사계획, 운영계획, 홍보계획, 예산계획 등과 같은 다섯 개의 계획단계가 설정된다.

마지막으로 󰡐제 4장 전시이벤트의 기획과정󰡑에서는 컨벤션, 전시 이벤트와 같은 영역에 대한 구체적인 기획방법이 서술된다. 이것은 『5단계 17항목』으로 구성된 것으로 앞에서 언급된 문화이벤트나 축제의 기획방법의 『5단계 19항목』의 구성 기법과는 달리, 업무 진행 스케줄과 기획안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 기획 방법은 전시이벤트를 유치하기 전부터 유치하여 실행에 이르기까지를 크게 기본(계획)단계를 비롯한 준비단계, 유치단계, 개최(및 실행)단계, 종료단계와 같은 5단계로 구분하고 행사의 운영ㆍ관리계획과 홍보계획, 예산계획을 시간의 흐름에 맞춰 진행해 나가는 방법이다.

기업ㆍ판촉 이벤트의 전략과 기획

본서의 차별화된 특징으로는 다음과 같은 점을 들 수 있다. 먼저 이벤트의 배경이 되는 다양한 이론체계를 알기 쉽게 정리하였고, 기획서를 입안하기 전에 명확히 알아야 될 기획의 개념과 기획서 작성 방법, 그리고 작성된 이벤트 기획서는 결국 클라이언트를 설득하는 프레젠테이션능력에 의해 성과가 좌우된다는 판단에 따라 효과적인 이벤트 프레젠테이션 방법이 무엇인지를 소개하고 있다. 또 이벤트를 접할 기회가 많지 않았던 분들을 배려하기 위해 프로모션과 이벤트에 관한 기초적인 이론을 추가하였다.

이와 같은 인식에서 출발하여 이 책은 기업·판촉 이벤트의 개념 및 특성에 대한 개요를 설명하는 서문을 중심으로 크게 3장으로 구성되고 있다. 먼저󰡐제1장 기획력과 이벤트기획 과정󰡑에서는 기획의 개념과 의의, 기획 발상, 기획력이란 무엇인가를 통하여 이벤트기획 과정의 본질을 파악하고, 󰡐제2장 이벤트와 세일즈 프로모션의 이해󰡑에서는 이벤트의 상위개념인 프로모션 믹스와 SP믹스 속에서 이벤트의 본질과 특성을 설명하고 있다. 마지막으로󰡐제3장 이벤트 마케팅영역의 기획󰡑에서는「5단계 16항목」을 중심으로 기업, 판촉이벤트 분야의 기획 방법을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저자소개

안태기(광주대 호텔경영학과 교수)

동국대학교 대학원 호텔관광경영학과 박사

KEMA(한국이벤트마케팅협회) 회장

(사)한국호텔관광경영학회 이사

(재) 지역문화교류재단 이사

전라남도 축제현장평가위원

(주)맥스파워 대표(전)

제88회 전국체전, 유네스코국제공연예술제, 광주충장축제, WFB한국대회,

완도해조류박람회 개·폐막식 총감독, 순천만 갈대축제 총감독 등

축제 및 관광, 이벤트 연출 및 컨설팅 자


김 희진 광주대학교 광고이벤트학과 교수

광주대학교 문화이벤트연구소장

한국 이벤트컨벤션 학회 부회장

전남발전정책 축제자문위원회 자문위원

동방기획 전략연구소 자문교수

일본 쥬오(中央)대학 상학박사

중앙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졸업

악의 적인 댓글이나 공격성 댓글은 고지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댓글

댓글 등록

최상단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