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월 행정안전부에서는 지방자치단체가 집계한 행사 및 축제 경비 내역을 발표하여 대부분의 언론에서는 비난일색의 기사가 줄을 이었다. 대 부분 기사의 요지는 경제도 위기인데 쓸데 없는 돈을 낭비했다는 식의 논조가 대 부분이다. 마치 축제 및 행사는 놀고 마시는 분위기를 조장하는 유흥비같은 존재로 부각시키고 있는데 이런 인식은 곤란하다.
우선 축제 혹은 행사를 왜 하는지에 대해 생각해보자. 축제를 하는 이유는 우선 지역민의 화합을 이루는데 있다. 현대 사회의 경우 이웃집도 모르고 지내는 세상인데 무슨 지역민의 화합이냐고 반문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지역의 공동체를 이루는데 축제만한 수단은 없는 것이다. 지역의 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는 지역문화제 같은 경우가 대표적이며 지역민 체육대회 등이 있다.
두 번째로는 지역발전 및 지역산업 활성화에 그 목적이 있다. 예를 들어 유명한 산, 바다, 유적지 같은 관광자원이 없는 지역이 있다고 치자. 거기에 인공적으로 지워진 예를 들어 놀이공원이라든지 대형 관광시설도 없다. 또한 공장시설도 없고 뛰어난 특산물이 있는 지역도 아니다. 이런 지역의 경우에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하나. 마냥 농업이나 수산업 등 1차 산업에만 종사해야 하는가? 전라남도 함평의 나비축제, 충남 보령의 머드축제, 화천의 산천어축제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일등공신이 된 축제는 얼마든지 많다. 지역을 발전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축제든 행사든 뭐든지 해야 하지 않을까? 오히려 지방자치단체장 등 관계자들은 지역 활성화를 위해 더욱 노력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
또한 행사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고속도로 개통, 산업단지 준공, 이.취임식, 지역박람회, 음악회, 전시회 등 다양한 지역에서 벌어지는 행사가 많다. 이는 단순히 흥청망청하는 것과는 격이 다르다. 많은 사람들에게 기쁨과 감동을 주는 경우도 있고 희망을 던져주는 경우도 많다. 이것을 단순히 낭비성이라 치부하는 것도 편협적인 시각이다. 물질적인 풍요도 풍요지만 정신적인 면도 고려해야하는 것이 현대생활을 살아가는 국민의 권리다.
또 하나는 산업적인 접근이다. 축제 및 행사를 하는 이벤트산업에 있어 광고대행사, 이벤트회사, 각종 시스템 회사 등이 이 산업에 속한다. 축제 및 행사 산업에 종사하는 종사자와 그 가족들도 상당수 있다. 얼마 전 이명박 대통령이 취임한 후 예산절감이라는 이유로 대통령 관련 모든 공식행사의 규모를 대폭축소를 했는데 이는 단순히 기업경영자 마인드를 벗어나지 못한 인식이라 볼 수 있다. 즉 대통령은 모든 산업의 활성화를 이뤄야 하는 것이 아닌가? 이벤트 종사자는 일반 유흥업계에 종사하는 서비스 종사자가 아니다.
국민이 낸 세금을 알뜰하게 사용하는 것이 당연하다. 하지만 그것이 지역발전을 꾀할 수 있고 지역민의 수익을 증대하는데 도움이 된다면 충분히 투자할 수 있다. 또한 지역민의 문화적 생활을 영위하는데 도움이 된다면 역시 집행해야 하지 않을까? 편협 된 발상 및 기준은 곤란하다.

악의 적인 댓글이나 공격성 댓글은 고지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