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우컬럼]전시컨벤션센터는 정부투자기관....중소기업 밥그릇 뺏는다

2011.04.04 08:52 이벤트넷 조회 6,430 댓글 0

전시컨벤션센터의 불공정 관행

“내 집에서 하는 행사, 내가 합시다”


최근 전시컨벤션센터에서 정부 및 지자체에서 주관하는 행사용역입찰에 참여하여 수주하는 사례가 많아지면서 불공정 관행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통상적으로 정부 및 지자체에서 발주하는 행사는 어림잡아 7천 억 원 정도(행정안정부, 2009 자료). 여기에 기업에서 주최하는 전시 및 이벤트를 합치면 최소 2조 원 이상의 시장규모를 갖고 있다. 최근 정부에서 미래성장동력 17대 산업 중 MICE산업을 포함시켜 앞으로 그 시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각 지자체에서 경쟁적으로 전시컨벤션 센터를 지은 것도 이와 무방하지 않다.


그런데 이 전시컨벤션 센터에서 각종 행사 용역입찰에 참여하여 행사를 수주, 진행하고 있다. 코엑스, 킨텍스, 벡스코가 대표적이다. 코엑스가 최초로 행사용역 대행을 시작하였고 이후에 설립한 두 곳에서도 경쟁적으로 참가를 하고 있다. 국제게임쇼 지스타, 20011미래 직업박람회, UNCCD제10차 총회 행사 대행“ 등이 대표적이며 이외에도 무수히 많다.


이벤트, 전시, 컨벤션의 경우 장소가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어떤 행사든지 기초계획에서 가장 중요하며 우선적으로 하는 것이 장소선정이다. 장소가 해결되지 않으면 어떤 행사든지 유치 혹은 개최가 어렵다는 것은 상식이다. 그렇다면 행사에 대한 정보는 누가 가장 먼저 알 수 있을까? 말이 필요 없이 전시컨벤션 센터의 예약담당자 일 것이다. 특히 코엑스의 경우에는 강남에 위치하고 있어 원하는 일시에 장소를 얻기가 하늘의 별따기 정도로 어렵다는 것이 업계의 공공연한 사실이다. 가장 먼저 정보를 취득하는 곳이 전시컨벤션 센터이다보니 정보의 독점성에 있어서는 따라올 자가 없다.


통상적으로 국가나 지자체에서 발주하는 행사용역은 “국가 혹은 지자체를 당사자로 한 계약법률”에 의거하여 일정금액 이상이 되면 공개경쟁을 통해 대행사를 선정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미 행사장을 갖고 있는 주체측에서는 이미 행사에 대한 내용을 잘 알고 있다. 공정경쟁의 시작에서 이미 위배가 된다. 최근 회자가 되고 있는 공정사회 구현에 과연 맞는 것일까?


전시컨벤션센터는 일반 사기업이 아닌 공기업이다. 국가 혹은 지자체의 세금으로 운영비를 충당한다. 그런데 이런 공기업이 사기업과 경쟁을 하는 구조도 이해되지 않는다. 뭔가 법적으로는 하자가 없는 것은 분명하기에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기는 하겠지만 공기업과 사기업이 경쟁한다는 것은 모순이 있다.


형식상으로 본다면 킨텍스의 경우에는 KOTRA·경기도·고양시 등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공동 출자한 한국국제전시장(주)라고 소개가 되어 있어 이윤을 추구하는 활동에 있어 법적 하자는 없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여기에 있다. KOTRA·경기도·고양시 등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출자한 회사가 사기업, 그것도 중소회사가 해야 할 용역을 우월적 지위를 남용하여 뺏어 간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고 또한 그것을 용인하는 상부기관들도 함께 비난 받아 마땅하다고 본다. 전시산업을 선도하려고 만든 곳이지 중소기업을 잡아먹는 곳은 아니지 않은가?


공정사회, 중소기업과의 상생...등 정부에서 제창하고 있는 이런 구호를 일반 국민 들이 믿으란 말인가? 진지하게 고민해봐야겠다.

악의 적인 댓글이나 공격성 댓글은 고지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댓글

댓글 등록

최상단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