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라인엔터테인먼트의 대표 서유영씨가 “지역주민의 문화가치가 지역사회 애착과 지역이벤트 태도 및 주민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로 경기대학교 이벤트국제회의학과 박사학위를 영득했다. 그 동안 학업과 사업을 병행하는 바람에 사업은 다소 침체(?)된것이 마음을 무겁게 한다고 박사학위 취득 소감을 전했다.
지난 5년간 뒷바라지 해준 가족에게 무엇보다 감사를 드리고 그 동안 소홀했던 사업에 전념하겠다는 각오를 보인다. 박사학위 영득을 다시한 번 축하한다.
논문개요
서 유영(010-4225-3306)
지역주민의 문화가치가 지역사회애착과 지역이벤트 태도 및 주민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역이벤트에 참가하는 주민들의 문화가치에 주목한 본 연구는 지역주민의 문화가치와 지역사회애착, 지역이벤트태도 및 주민참여행동의 영향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그 의미를 찾고자 수행되었다.
지역주민의 문화가치는 사람이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면서 습득한 다양한 지식, 제도, 관습 등을 통해 형성된 집단에 속한 구성원으로서의 개인이 가진 공통된 가치로 정의하였다. 지역사회애착은 지역주민이 해당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오랜 시간동안 걸쳐 형성된 심리적 연대감으로 정의하였고, 지역이벤트 태도는 특정의 목적 달성을 위해 마련된 인위적 행사에서 개인이 접하는 상황에 대하여 갖는 심적인 상태와 호의적 또는 비호의적으로 반응하는 행동으로 정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주민참여행동은 지역사회인 동네에 기반을 둔 지역주민이 지역의 개발과 발전을 위해 직·간접적인 참여를 통해 의견을 반영하는 행동으로 정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Hofstede(1980, 1995, 2001)의 문화가치에 대한 다수의 연구에서 보여주듯 문화가치가 경제와 사회의 발전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유기체적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문화가치에 관한 연구들이 비교문화에서 다루어졌음에 반해 본 연구는 영향관계를 검토하여 이벤트 현상에도 적용시켰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지역사회애착의 기존 연구가 관광자나 관광목적지 지역주민이 특정 장소에 대해 갖는 애착도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연구였으나, 이번 연구는 우리가 일상생활을 수행하고 있는 일반 거주 지역주민의 지역사회애착을 분석함으로써 연구대상을 삶의 터전인 지역사회로 확장하여, 지역주민이 지역에서 벌어지고 있는 지역이벤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될 수 있음을 밝혀 향후 지역공동체의 다양한 사업에서 지역주민의 참여행동 연구에 이론적 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지금까지 이벤트와 관련한 연구가 대부분 연구대상을 시, 군 등 전체 광역적인 지역을 연구단위로 설정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동 단위의 소규모 지역사회로 연구 범위를 한정시킨 것이다.
개인이 가지고 있는 문화가치에 대한 생각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서울의 경우 고향의 개념이 아닌 거주를 목적으로 생활하는 경우가 많아 주변 사람들과의 소통노력이나 그 지역사회의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인식이 높지 않은 경우가 많다. 문화가치가 지역사회애착과 지역이벤트 태도 및 주민참여행동에 어떠한 속성과 관련되는 지의 여부를 고려하여 지역이벤트 과정에 지역주민의 참여를 관리할 수 있으므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기존의 무조건 적인 권위 보다는 서로 다른 개인이 서로 소통하고 그 속에서 정체성을 확립하고 살아야하는 지역사회의 역할을 감안할 때, 보다 합리적인 방향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지역주민들은 지역이벤트의 참여 활동을 통해 소통의지가 높으며, 더 나아가 지역에서 결정해야하는 다양한 결정활동에 참여행동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또한, 주민참여행동은 지역사회애착과 지역이벤트태도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었다. 따라서 동단위의 지역이벤트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애착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본 연구는 보여주었고, 마을공동체의 의미를 강조하는 최근 정책경향이 올바른 방향임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지역사회애착이 의도적으로 형성되기 어렵고 장기적인 과제로 판단할 수 있다면 단기적으로는 지역이벤트 태도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그리고 지역이벤트 태도에 문화가치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간접적으로 지역이벤트 활성화에 문화가치의 정책적 고려가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지금까지 동에서 개최되고 있는 이벤트가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이벤트를 개발, 육성하여 동 주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악의 적인 댓글이나 공격성 댓글은 고지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