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각규 소장, 박람회 프로듀스 출간, 개정판

2019.09.10 09:53 이벤트넷 조회 1,941 댓글 0


 

이벤트업계 초창기 원로 이각규소장의 15번째 책이다. 이각규소장은 그 동안 5권의 번역서와 10권의 저서를 출간했다. 이벤트업계에서는 유일무이다.

이 책은 대중성이 있는 것이 아니고, 전문서적 중의 전문서적이다. 국내에서 박람회라는 것을 빈번하게 열리는 것이 아니기에 희귀성이 더하다.

 

시장성보다는 전문성에 입각해 출간한 이 책은 개정판이다. 첫 발간이후 다양한 경험과 이론을 접목시켰고, 무엇보다 실무중심을 강조한다.

 

이벤트 업무 종사자라면, 한번 쯤 읽어보거나 읽기가 어렵다면 한 권 쯤 소장할 만하다.

박람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이 책은 그 노하우를 담고 있다. 기본 구상에서 실행, 계획, 실제 운영, 서비스 관리, 사후 활용까지, 박람회 프로듀스의 전 과정을 하나하나 꼼꼼히 짚어 가며 노하우를 전한다. 개정판은 2015년 초판 발행 이후 변화된 환경과 노하우를 반영했다. 세계박람회 유치 활동은 물론 개최와 음영의 실질적인 가이드북이다.

 

이 책은 각 분야별 실무와 관련한 국내 최초의 박람회 실무 전문서다. 2019년 개정판은 초판 출판 후 4년 동안의 세계박람회와 지방박람회의 개최 동향 변화와 세계박람회 각 분야별 실무 노하우의 발전을 반영했다. 향후 개최를 추진하고 있는 지방박람회와 2030년 부산 세계등록박람회를 유치·개최에 매우 유익한 실무 자료가 될 것이다.

 

 

 

 

개정판, 이렇게 바뀌었다.

 

박람회 실무에 중점을 두고 기존 내용을 보완했다. 특히 2부에서 세계박람회 업무와 추진 프로세스, 박람회 성공 포인트, 국제행사 승인 제도를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보완했다.

 

`새로운 내용을 추가했다. 특히 세계박람회 실무를 다루는 3부의 내용을 대폭 보완했다. 3부에 추가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장 실행조직 체계와 조직 구성_‘세계박람회 조직 관리의 필요조건

 

- 6장 회장 선정과 구성_ 세계박람회장 구성

 

- 7장 회장시설과 관람객 체험 창조_‘박람회장의 시각적 연출’, ‘세계박람회장의 시설’, ‘세계박람회의 건축과 관람객 체험

 

- 8장 세계박람회 전시관과 전시 동향

 

- 9장 전시 제작과 전시관 운영_‘전시관 관람객 동선

 

- 11장 박람회 행사와 여건 분석_‘박람회 행사시설

 

- 15장 박람회 수익사업_‘새로운 스폰서 방식

 

- 19장 인력 및 물자 관리_‘직원 채용, ’직원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

 

2010상하이세계박람회와 2015밀라노세계박람회의 생생한 현장사진을 대폭 추가했다.

 

지은이

 

이각규는 한국지역문화이벤트연구소장이자 이벤트프로젝트 프로듀서다. 부산산업대학교(현 경성대학교)와 배재대학교 관광경영대학원을 졸업했으며, ()롯데전자 광고실 디자이너, ()대홍기획 프로모션국 이벤트팀장, ()세륭기획 엑스포사업부장, 투웨이프로모션 대표, ()서울광고기획 SP국 부국장을 역임했다. 현재 2030부산엑스포추진단 자문위원과 2022하동야생차엑스포 기획위원, 박람회연구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국내 최초의 국제박람회기구 공인 인정박람회였던 1993대전세계박람회의 홍보캠페인, 문화행사, 회장운영 등을 기획하고 컨설팅했다. 2012여수세계박람회를 비롯해 2001경기세계도자기엑스포, 20052016고양세계꽃박람회, 2011대장경천년세계문화축전, 2012안성세계민속축전, 2013이스탄불·경주세계문화엑스포, 2013산청세계전통의약엑스포,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2014 인천아시안게임, 2017아스타나세계박람회 한국관, 2030부산세계등록박람회 유치 타당성조사 등을 기획·컨설팅하고 심사·평가했다. 2005년 아이치세계박람회부터 모든 세계박람회를 현장 조사했으며, 박람회 실무이론과 박람회학(EXPOLOGY)의 체계화를 위해 다양한 연구와 저술을 하고 있는 전문가다.

 

주요 저서로 이벤트 성공의 노하우(최신 개정판)(2017), 박람회프로듀스(2015), 세계박람회 기업관의 전략과 실제(2015, 공저), 한국의 근대박람회(2010), 지역이벤트(2008), 문화관광축제 변화와 성과 19962005(2007), 이벤트 성공의 노하우(개정판)(2007), 21세기 지역이벤트 전략(2000) 등이 있다. 역서로 국제박람회와 메가이벤트 정책(2012), 국제박람회 역사와 일본의 경험(2011), 기업은 이런 축제에 투자한다(2011), 기적을 만드는 이벤트 전략(1994) 등이 있다.

 

 

 

[출처] [신간] 이론부터 실무까지 한 번에 볼 수 있는, 박람회 프로듀스|작성자 컴북스

악의 적인 댓글이나 공격성 댓글은 고지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댓글

댓글 등록

최상단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