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찰사태,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2010.11.29 08:27 이벤트넷 조회 6,964 댓글 0

유찰사태,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여수박람회 퍼레이드 대행사 선정에 있어 “점수 미달”로 유찰된 어이없는 일이 발생했다. 이미 입찰 전부터 “유찰”설이 떠돌았고 발표 예정 시간보다 3시간이 넘어서 발표된 것만 보더라도 여러 가지 추측을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다.


“업계를 무시하는 처사”라는 것은 누구나 느끼는 일이니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될듯하여 각설하고 앞으로의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일단 협회(이벤트협회, 이벤트프로모션 협회)에서 정식으로 공문으로 통해 이번 사태에 대해 일련의 과정에 대한 해명을 요청하기로 했다. 공문으로 대처하는 것이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없는 일이지만 어쨌든 두 곳이 모두 국가에서 인정한 비영리 사단법인이니 조직위 측에서도 뭔가 공식적인 답변이 있을 것이다.


업계의 온, 오프라인 매체인 월간이벤트, 이벤트넷도 공조를 통해 조직위측에 해명을 요청하기로 했다. 일반매체에 비해 지명도는 덜하지만 전문지로써 그 책임을 다해야 하며 조직위 측에서도 일단 귀찮은 존재임에는 틀림없다.


하지만 위와 같은 활동으로는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 있는 조직위의 해명과 사후대책을 기대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른다. 무엇보다 업계의 보다 강력한 대책이 필요하다. 물론 사전에 이벤트 관련 업계가 영향력이 있었다면 이 같은 터무니없는 경우는 없었겠지만 어쨌든 이런 일이 발생했으니 이제부터가 중요한 것이다.


첫째, 단체행동이 필요하다.

간혹 매스컴을 보면 개인 혹은 단체의 이익을 위한 시위모습을 본다. 이번 기회를 통해 여수박람회 조직위 건물 앞에서 위원장과의 면담을 요구하는 시위 활동도 필요하다고 본다. 9개 회사의 돈과 노력이 저들의 횡포에 한 순간에 날라 가게 한 대가는 반드시 치러야 한다.


둘째, 국가 기관을 적극 활용 하여야 한다.

현재 국가에서는 선의의 피해자 혹은 단체를 대변하기 위한 기구를 운영하고 있다. 신문고, 정보공개청구, 국민권익위원회 등이 대표적이다. 이미 이벤트넷에서 각각의 기구를 통해 민원신청을 한 상태인데 이외에도 다수의 이벤트 관계자들이 민원요청을 넣어 조직위의 공식적인 답변과 해명, 그리고 재발방지를 요청해야 한다.


셋째, 업계의 단결이 필요하다.


일종의 퍼포먼스일수도 있으나 임시 단체 협의를 통해 여수박람회 거부를 표명해야 한다. 대 부분 기획사는 향후의 보복(?)이 두려워 공식적인 입장표명을 지양했으나 이번의 횡포는 차원이 다르다. 어쩌면 이번 기회가 이벤트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좋은 기회다.


이번 횡포는 이벤트 업계에 종사하는 관계자들에게는 치욕이다. 그 많은 업계 관계자들이 2개월 이상 갖은 노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낙제”를 맞은 것이다.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지 심각하게 고민해보자!

악의 적인 댓글이나 공격성 댓글은 고지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댓글

댓글 등록

최상단 이동